본문 바로가기

교육3

2025년 전국 기숙형 고교 146개교 운영 현황과 시도별 편중 분석 기숙형 고등학교 146개교 운영…시도별 분포·정책 분석2025학년도 기준 기숙형 고등학교는 총 146개교가 운영 중이며, 농산어촌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. 사립 21교, 자립형 공립 10교 등 학교 유형별 구성과 시도별 현황, 정책 의의까지 종합 정리하였다.▶ 기숙형 고등학교 정책 개요기숙형 고등학교는 주로 농산어촌이나 도서·산간 등 교육 여건이 열악한 지역에서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고, 지역 간 교육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도입된 정책이다.2025년 기준, 전국적으로 146개교가 운영 중이며, 이는 2008년 첫 도입 이후 꾸준히 확대되어온 결과다. 기숙사를 기반으로 한 전일제 교육 모델은 통학 불편을 해소하고, 학생의 학습 몰입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.운영 주체는 대부분 시도교육청이며, 일부 학교.. 2025. 7. 17.
중학생 선호 직업 통계 분석 및 진로교육 시사점 2024년 중학생 희망직업 변화, 교사·간호사·운동선수 여전한 강세중학생 희망 직업 상위권은 교사, 간호사, 운동선수가 유지되고 있으며, 디지털 분야 확장과 직업 다양성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 요구됩니다.▶ 중학생 희망 직업 1위는 여전히 ‘교사’2024년 「초·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」에 따르면, 중학생이 가장 선호하는 직업 1위는 ‘교사’로 나타났습니다. 전체 학생의 7.8%가 교사를 희망한다고 응답했으며, 이는 2023년 대비 0.7%p 증가한 수치입니다. 희망직업 2위는 ‘간호사’(6.6%), 3위는 ‘운동선수’(5.9%)로 집계됐습니다.상위 직업군은 지난 수년간 크게 바뀌지 않았으며, 전통적인 공공서비스직과 전문가군에 선호가 집중되어 있습니다. 특히 교사는 남학생(7.3%)과 여학생(8.2%) 모두.. 2025. 7. 17.
전국 초중고 급식 전면시행과 예산·인력 총정리 2024년 전국 모든 학교서 전면 급식…예산 8조 투입2024학년도부터 전국 초·중·고·특수학교 12,047교 모두에서 전면 급식이 실시됩니다. 총 예산 8조 2,633억 원이 투입되며, 급식 인력은 72,405명이 배치됩니다. 급식 운영 형태, 시도별 재정 투입, 인력 구조까지 한눈에 확인해보세요.▶ 급식 전면 시행 현황 요약2024년 2월 기준, 전국의 초·중·고·특수학교 총 12,047개교 전부가 급식을 시행하고 있습니다. 전체 학생수 5,176,280명 중 급식 참여 인원은 5,176,981명으로, 참여율은 100%에 근접합니다. 학교당 평균 급식 학생 수는 약 430명입니다.급식 운영 형태는 직영급식이 11,787교로 전체의 97.8%를 차지하며, 이 중 단독조리 방식은 9,413교(79.9%).. 2025. 7. 17.